[데일리 리포트] 2025년 8월 13일 국내 증시 마감 시황

코스피·코스닥 지수 동향

코스피 코스닥 지추 차트

출저) 인베스팅 닷컴

2025년 8월 13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42% 상승한 3,203.41로 마감했습니다. 장 초반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폭을 키웠지만, 기관의 매도세로 상승폭이 일부 제한되었습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15% 하락한 806.00에 마감하며 약보합권 흐름을 보였습니다.


코스피 단기 조정 진입…산업재·유틸리티 주목

최근 한 달간 상승세가 둔화된 코스피는 단기 숨고르기 구간에 진입했습니다. 전문가들은 하락세가 장기화되기보다는 기간 조정을 거친 뒤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습니다.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코스피 20일 이동평균선은 7월 중순 이후 둔화했고 8월 초부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거래량도 감소세로 전환돼 전형적인 기간 조정 양상을 나타냈습니다.

하락 요인

  1. 외국인 매수세 둔화 – 5월부터 이어진 순매수가 7월 이후 둔화

  2. 2분기 실적 부진 – 코스피 상장사 순이익 36.5조 원, 예상치 대비 5.6% 하락

  3. 정책 기대 하회 – 배당소득 분리과세·양도소득세 확대 기대 미충족

향후 전망

  • EPS 전망: 연말 315포인트, PER 10.1배로 가격 부담 제한적

  • 유망 업종: 산업재·금융·유틸리티 성장세 지속 예상

  • 정책 변수: 세제 개편 수정 시 고배당주·자금 유입에 긍정적 영향 가능


투자자 수급 분석

코스피

  • 외국인: +1,000억 원 순매수(반도체·IT 대형주 중심)

  • 기관: –850억 원 순매도(금융·유통 업종 중심)
    → 외국인 매수가 지수 상승 견인, 기관 매도가 상승폭 제한

코스닥

  • 외국인: –450억 원 순매도(바이오·헬스케어 중심)

  • 기관: +500억 원 순매수(게임·IT 중소형주 중심)
    → 기관 매수가 외국인 매도세 일부 상쇄, 지수 안정에 기여


급등 종목 분석

상한가

  • 핌스(+29.89%) – 미국 내 中 OLED 퇴출 전망 반사수혜, OLED 테마 강세

  • 토탈소프트(+29.88%) – 2분기 실적 호조

  • 프로이천(+29.85%) – 반도체·OLED 테마 강세

주요 급등주

  • OLED: 에스켐, 덕산네오룩스, LG디스플레이, 피엔에이치테크, 제이엠티, 이엠앤아이, 한국컴퓨터

  • 코로나19: 우정바이오, 인바이오젠, 펩트론, 그린생명과학, 셀비온

  • 비만치료제: 인벤티지랩, 블루엠텍, 올릭스

  • 반도체·IT: 비에이치, ISC, 피엠티, 케이씨텍, 유니셈

  • 기타: 누리플랜(흑자전환), 덕산테코피아(반도체·OLED 테마)


52주 신고가 종목 현황

  • OLED 테마: 덕산네오룩스, LG디스플레이, 원익IPS

  • 코로나19·바이오: 펩트론, 리가켐바이오

  • 반도체: 유니셈, 티씨케이, 오킨스전자, 이오테크닉스, 저스템, 코미코

  • 실적 개선: 누리플랜, 아이크래프트, HB인베스트먼트, 세명전기

  • 정책 수혜: 코데즈컴바인, 좋은사람들

  • 기타 주목주: HJ중공업, 현대글로비스, 효성


시간 외 거래 특징주

상승

  • 남북경협: 재영솔루텍, 제이에스티나, TP, 신원, 코데즈컴바인, 좋은사람들, 인디에프, 남광토건, 일신석재, 모나용평

  • 실적 호조: 서흥, 에이치피오, 코리아에프티, 솔본, FSN, 옵티시스, 엔지스테크널러지

  • 기타: 빛과전자(호텔 개발 기대), HS애드(중간배당 결정)

하락

  • OLED 약세: 야스, 나인테크, 피엔에이치테크

  • 기타: 소니드, 네오펙트, 디와이파워, AP헬스케어, 아이에이


테마별 동향

  • 반도체 강세: 美 CPI 이후 기술주 상승, 엔비디아 중국 판매 소식 —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원익IPS, 한미반도체 상승

  • 디스플레이 강세: 삼성디스플레이, 중국 BOE 상대로 OLED 영업비밀 침해 소송 승소 — LG디스플레이, 덕산네오룩스, 이녹스첨단소재 급등

  • 조선 강세: HD현대, 베트남 조선 협력 MOU 체결 —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상승

  • 엔터 약세: JYP Ent. 실적 발표 앞두고 하락 — 에스엠, 하이브, 와이지엔터테인먼트 하락

  • 게임 약세: 펄어비스 적자 확대·출시 연기 — 엔씨소프트, 넷마블 약세

  • 화장품 약세: 달바글로벌, 한국콜마, 코스맥스 차익실현 매물


마무리 시황 해석

8월 13일 국내 증시는 코스피 3,203.41(+0.42%), **코스닥 806.00(–0.15%)**로 마감했습니다. 반도체·디스플레이·조선 업종이 상승세를 이끌었으나, 엔터·게임·화장품 업종은 약세를 기록했습니다. 외국인의 대형주 매수세가 지수 하방을 방어했지만, 업종별로 뚜렷한 차별화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SEO 핵심 키워드
국내 증시 마감 시황, 코스피 지수, 코스닥 지수, 오늘 주식 시장, 외국인 순매수, 기관 순매도, 상한가 종목, 급등주, 52주 신고가, 시간외 특징주, 반도체 주식, OLED 관련주, 남북경협 테마, 비만치료제 테마, 주식 투자 전략, 오늘의 주식 뉴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