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증시 전망

이번 주(9월 8일~12일) 국내 증시는 미국의 고용·물가 지표 발표와 함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연방준비제도(Fed)가 중순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인하 여부를 결정하는 상황 속에서, 시장은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와 고용지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지난주 코스피는 3205.12로 마감하며 소폭 상승했지만, 반도체 업종의 약세와 미국 지표 충격으로 여전히 박스권(3100~3300포인트)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다만, 9월 정기국회에서 논의될 상법 개정안이 지주사·증권주에 모멘텀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으며, 신성장 업종인 AI 소프트웨어, 바이오, 에너지, 호텔·레저 업종도 투자자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오는 11일 발표되는 8월 미국 CPI는 금리인하 기대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결과에 따라 글로벌 증시 흐름이 크게 흔들릴 가능성이 큽니다.
출처: 이데일리, 2025년 9월 7일 기사 (원문보기)
9월 8일(월)
- 북미 최대 재생에너지 전시회 ‘RE+ 2025’ 개막 (라스베이거스, 8~11일)
- LG에너지솔루션: 전력망 ESS, AI 데이터센터·UPS 솔루션 전시
- 삼성SDI: 신제품 ‘SBB 1.7’ 및 ‘SBB 2.0’ 공개
- 이재명 대통령, 여야 대표와 오찬 회동
-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 등 참석
- SRT, 추석 승차권 예매 시작 (8~11일)
- 주요 경제지표
- 美 8월 소비자 인플레이션 기대치
- 美 7월 소비자신용지수
- 中 8월 무역수지
- 日 2분기 GDP 수정치 / 7월 경상수지
9월 9일(화)
- 애플, 아이폰17 시리즈 공개 (현지시간)
- 신제품: 아이폰17, 아이폰17 에어, 프로, 프로맥스
- A19 칩셋 탑재 및 실시간 번역 기능 추가
- IAA 모빌리티 2025 (뮌헨, 9~12일)
- 현대차·기아, 유럽형 전기 SUV 콘셉트 공개
- LG전자, 전장 사업 강화 참가
- 솔루엠, AR HUD 신기술 공개
- 스노우플레이크, ‘월드 투어 서울’ 개최
- 삼성전자·미래에셋 등 주요 고객사 참여
- 두나무, 업비트 D 컨퍼런스 (서울)
- 주제: “Blockchain, to the Mainstream”
- 주요 경제지표
- 美 3년 만기 국채 입찰
9월 10일(수)
- 美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 (한국시간 오후 9:30)
- TSMC, 8월 매출 발표
- 한국거래소, 글로벌 파생상품 컨퍼런스 ‘FIA 포럼’ (부산)
- CME, JP모간, S&P 등 글로벌 금융기관 참여
- 통계청 8월 고용동향 발표
- 2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 발표
- 주요 경제지표
- 美 10년 만기 국채 입찰
- 中 8월 소비자물가지수·생산자물가지수
9월 11일(목)
- 美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한국시간 오후 9:30)
- ECB 기준금리 결정 (유로존)
-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
- OPEC 월간 보고서
- 오토모티브 뉴스 콘그레스 (디트로이트)
- 정의선 현대차 회장, GM CEO와 기조연설
- 이재명 대통령, 정부 출범 100일 기자회견
- 삼성SDS ‘리얼 서밋 2025’ (서울 코엑스)
- 컴투스홀딩스, ‘아레스: 선택받은 자’ 중화권 출시
- 주요 경제지표
- 美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美 30년 만기 국채 입찰
- 日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
9월 12일(금)
- KRX 시가총액 규모별 주가지수 정기 변경 적용
- 대형주 편입 예상: 에이피알, 한화, 키움증권, 이수페타시스, CJ, 현대제철, LG씨엔에스 등
- 환경부,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확대 초안 공청회 (서울)
- 롯데손해보험, 유상증자 관련 조회공시 답변 기한
- 동양철관, 주식병합으로 변경상장 (159,801,815주 → 79,900,907주)
- 주요 경제지표
- 美 9월 미시건대 소비심리 평가지수 잠정치
- 中 8월 광의통화(M2)
결론 및 투자 포인트
이번 주 증시는 미국의 CPI와 PPI 발표, 연준의 금리인하 전망, 그리고 정기국회 정책 모멘텀에 따라 방향성이 결정될 가능성이 큽니다.
- 단기적 관전 포인트: 美 CPI(11일) / ECB 기준금리(11일) / 선물옵션 만기일(11일)
- 중기적 투자 포인트: 상법 개정안 수혜주(지주·증권), AI·바이오 등 신성장 업종
- 유의사항: 미국 지표 해석에 따른 변동성 확대 가능성
투자자들은 이번 주 박스권 흐름 속에서도 정책 모멘텀과 업종별 기회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내부링크
메타 설명 (SEO 최적화)
2025년 9월 2주차 주간 증시 일정 입니다. 미국 CPI·PPI, FOMC 금리인하 전망, ECB 금리결정, 선물옵션 만기일 등 주요 이벤트에 따라 국내외 증시 변동성이 커질 전망입니다. 상법 개정안 수혜주로 지주·증권주가 주목받고, AI·바이오 등 신 성장 업종도 투자 포인트로 부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