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19일 증시 마감 (외국인 1조 매도·AI 약세)

국내 증시 마감 시황

2025년 11월 19일 국내 증시 마감 지수
2025년 11월 19일 국내 증시 마감 지수
출저) investing.com

11월 19일 국내 증시 마감 시황 입니다. 코스피는 장중 3800선까지 밀리며 큰 변동성을 보였지만, 장 후반 낙폭을 줄이며 3929.51(-0.61%)로 마감했다. 미국 증시가 엔비디아 3분기 실적 발표·FOMC 회의록 공개를 앞두고 AI 관련주 중심 약세를 보인 영향이 국내 시장에 그대로 반영됐다.

지수는 장 초반 3966선까지 상승했지만 빠르게 하락 전환하며 장중 -2%대 급락, 8거래일 만에 3900선 붕괴가 나타났다. 다만 후반 반발 매수 유입으로 종가 기준 3900선을 회복했다.

전일 미국 시장은 전반적으로 약세였다.

  • 다우지수: -1.07%
  • S&P500: -0.83%
  • 나스닥: -1.21%

엔비디아 실적에 대한 부담, 빅테크 비용 증가 우려, AI 고평가 논란이 투자심리를 압박했다.

코스피에서는 외국인이 1조511억원 순매도, 개인(+4491억원), 기관(+6255억원)은 순매수로 대응했다.
업종별로는 전기·가스(-3.72%), 운송장비(-1.51%), 전기·전자(-1.20%)가 약세를 보였고 금속(+1.97%), 통신(+1.53%) 등은 반등했다.

시총 상위 종목은 대부분 하락했다.
삼성전자(-1.33%), SK하이닉스(-1.40%), HD현대중공업(-4.81%) 등 약세가 두드러졌다.

코스닥은 871.31(-0.84%)로 마감했다. 외국인은 701억원 순매도했고 개인·기관은 순매수했다.
알테오젠(-2.68%), 에코프로(-2.82%) 등이 하락했고 레인보우로보틱스(+2.26%) 등 일부 로봇주는 상승했다.

출처: 매일경제


외국인·기관 수급 현황

코스피

  • 외국인: 약 1조 512억 원 순매도
  • 기관: 약 6,258억 원 순매수
  • 개인: 약 4,465억 원 순매수

코스닥

  • 외국인: 약 703억 원 순매도
  • 기관: 약 784억 원 순매수
  • 개인: 약 53억 원 순매수

해설

외국인 매도세가 시장 방향성을 좌우했다.
반면 기관은 저가 매수세로 시장 하단을 지지했다.
엔비디아 실적 발표 이후 시장 모멘텀이 재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상한가 및 급등 종목

수산·여행·K-뷰티 등 중일 갈등 반사수혜 테마와 로봇·AI 관련 차세대 기술주, 그리고 신약·바이오 섹터가 두드러진 하루였다.

상한가 및 급등주

종목명등락률상승 사유
한성기업+30.00%수산물 수입 중지 소식
천일고속+29.99%서울고속버스터미널 재개발
동양고속+29.99%터미널 재개발 기대
조이시티+29.84%신작 게임 글로벌 인기
에스피지+26.78%로봇 기술협력 MOU
동원수산+19.66%수산 테마 상승
파로스아이바이오+14.57%기술이전 기대
사조씨푸드+13.22%수산 테마 강세
CJ씨푸드+12.73%수산 테마 강세
메드팩토+12.13%신약 개발 과제
디아이씨+11.35%AI 휴머노이드 기대
대원산업+11.32%저평가 부각
한라캐스트+10.56%AI 로봇 부품 양산
다스코+10.27%자사주 신탁
참좋은여행+10.11%중일 갈등 수혜
온코크로스+9.69%암 조기진단 기대
아모레퍼시픽홀딩스+9.65%K-뷰티 강세

52주 신고가 및 특이사항

수산·정유·여행·로봇 등 업종별 개별 모멘텀이 강하게 작용하며 신고가 종목이 다수 출현했다.

52주 신고가

종목명등락률특이사항
한성기업+30.00%수산 테마
천일고속+29.99%재개발 모멘텀
에스피지+26.78%로봇 기술 협력
동원수산+19.66%수산 테마
사조씨푸드+13.22%수산 테마
메드팩토+12.13%항암제 과제 선정
대원산업+11.32%저평가
에이치이엠파마+9.05%
네오티스+8.38%흑자전환
세보엠이씨+7.68%공급계약
에이플러스에셋+6.39%공개매수
노랑풍선+5.32%중일 갈등 수혜
S-Oil+5.02%정제마진·샤힌 프로젝트
이지홀딩스+4.56%장내매수
아세아+4.11%자사주 소각
삼영+3.92%실적
대덕전자+2.95%실적 호조
GS+2.72%호실적
SB성보+2.09%
유니크+1.91%
신세계+1.58%재개발 수혜
인지소프트+1.36%공급계약·신탁
영풍+1.04%경영권 분쟁

시간 외 특이종목

중국기업·보안·태양광·우크라 재건 등 테마별로 시간 외 변동성이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시간 외 특이종목

종목명등락률특징
윙입푸드+6.54%중국기업 테마 강세
넥스트아이+6.13%화장품
지란지교시큐리티+3.35%보안주
피플바이오+3.25%최대주주 변경
동양이엔피+3.07%정책 기사 영향
에이디테크놀로지+3.04%공급계약
큐리오시스+2.96%신규보고
애드바이오텍+2.94%최대주주 변경
SDN+2.72%태양광
SG+2.11%우크라 재건
금강공업+2.01%모듈러주택
대덕전자+1.34%실적 모멘텀
에스와이스틸텍+1.27%우크라 재건
한화시스템+1.20%ESG AAA
디앤디파마텍-1.00%비만치료제 약세
참좋은여행-1.02%조정
지투지바이오-1.58%신주인수권 행사
인벤티지랩-2.31%투자경고
한라캐스트-2.46%정규장 급등 후 조정
미투온-3.00%전환청구권
삼영엠텍-6.50%자사주 처분·CB/BW 발행

테마 주도 흐름 정리

  • AI·반도체 약세: 엔비디아 실적 경계, 피차이 발언 영향
  • 조선·방산 약세: 외국인 매도 집중
  • 로봇·자율주행 강세: 엔비디아·테슬라 모멘텀
  • 중일 갈등 반사수혜: 여행·뷰티 업종 상승

메타 정보 (SEO)

Meta Description

2025년 11월 19일 국내 증시 마감 시황 입니다. 외국인 1조 순매도가 출현하며 국내 증시는 AI·반도체 중심 약세를 보였다. 반면 수산·여행·로봇 등 개별 모멘텀 테마는 강세를 이어갔습니다.

핵심 SEO 키워드

2025년 11월 19일 증시마감, 외국인매도, AI약세, 코스피, 코스닥, 상한가, 급등주, 시간외특이종목, 52주신고가

내부링크

더 많은 데일리 리포트 보러가기

댓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