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21일 증시 마감 (AI 고평가 우려·반도체 급락)

1. 국내 증시 마감 시황

2025년 11월 21일 국내 증시 마감 지수
2025년 11월 21일 국내 증시 마감 지수
출저) investing.com

21일 국내 증시는 미국발 AI 고평가 우려와 글로벌 증시 동반 약세 영향으로 큰 폭의 조정을 받았습니다.
엔비디아 호실적 발표에도 불구하고 AI 투자 수익성 둔화 우려가 확산되면서 투자심리가 급격히 냉각됐습니다.

코스피는 전일 대비 3.79% 급락한 3,853.26에 마감했으며, 삼성전자(-5.77%), SK하이닉스(-8.76%) 등 반도체 대형주가 급락하며 지수를 끌어내렸습니다.
코스닥 역시 3.14% 하락한 863.95로 마감하며 전반적으로 투자심리가 약화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아시아 주요 증시도 전반적으로 부진했습니다.
일본 닛케이는 -2.4%, 대만 TAIEX는 -3.61% 급락하며 반도체 중심으로 타격이 크게 나타났습니다.
중국·홍콩 등 중화권 지수도 2~3% 내외로 하락했습니다.

앞서 마감한 뉴욕증시도 AI 거품 논란과 연준의 금리 결정 불확실성이 더해지며 변동성이 확대되었습니다. 특히 나스닥 지수는 장중 5% 폭락 구간을 만들며 긴장을 자아냈습니다.

가상자산 시장에서도 조정이 이어졌습니다.
비트코인은 9만 달러선을 이탈한 뒤 8만6천 달러까지 추가 하락했습니다.

출처: 연합뉴스


2. 외국인·기관 수급 현황

코스피 수급 동향

  • 외국인:2조 8,000억 원 순매도
  • 기관:4,900억 원 순매수
  • 개인:2조 2,000억 원 순매수

전형적인 ‘외국인 매도 → 개인·기관 매수 대응’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다만 외국인 매도 강도가 크고 반도체 비중이 높아 지수 하락 압력이 집중된 하루였습니다.

코스닥 수급 동향

  • 외국인:1,280억 원 순매도
  • 기관:791억 원 순매도
  • 개인:2,199억 원 순매수

코스닥은 외국인·기관 동반 매도 속 개인 매수세만 유입되며 시장 신뢰 회복 부담이 남는 흐름이었습니다.


3. 상한가 및 급등 종목

아래 종목들은 테마별로 정리했으며, 표 위에는 핵심 상승 요인을 간단히 설명했습니다.

(1) 고속버스터미널 재개발 테마

재개발 기대감 지속으로 관련주 상한가 직행.

종목명등락률상승 이유
동양고속+29.98%반포 서울고속버스터미널 60층 재개발 수혜 기대
천일고속+29.89%동일 테마 수혜 기대

(2) 패션·의류 / 중국·일본 관련 테마

한일령 수혜 기대, 화장품·의류 테마 강세.

종목명등락률상승 이유
SG세계물산+29.70%한일령 수혜 기대
에이유브랜즈+17.77%패션/의류 테마 강세
삐아+11.04%중국·일본산 화장품 수입 제한 반사 수혜 기대
본느+6.29%화장품 테마 강세

(3) 바이오·제약 테마

임상, 글로벌 기술이전, 기술력 입증 모멘텀 지속.

종목명등락률상승 이유
파로스아이바이오+13.43%PHI-101 글로벌 기술이전 추진 모멘텀
코오롱티슈진+11.49%TG-C 임상 3상 기대감
메드팩토+7.19%육종암 심포지엄 임상 발표
디앤디파마텍+6.31%화이자 멧세라 인수 관련 가치 재평가

(4) 화장품·소비재 테마

실적 및 기술력 기반으로 강세.

종목명등락률상승 이유
케어젠+14.66%MEDICA 2025서 기술력 입증
현대에버다임+6.06%우크라이나 재건 기대감 반영

(5) 로봇·AI·신규 상장 테마

종목명등락률상승 이유
비츠로넥스텍+85.65%신규 상장 첫날 급등
에스피지+8.47%로봇용 액츄에이터 기술협력 MOU
전진건설로봇+8.46%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기대감

4. 52주 신고가 및 특이사항

아래는 신고가·특이 모멘텀을 보인 종목 정리입니다.

종목명등락률특이사항
동양고속+29.98%고속터미널 재개발 수혜
천일고속+29.89%동일 테마 상승
SG세계물산+29.70%한일령 수혜 기대
에스비비테크+25.51%
케어젠+14.66%MEDICA 2025 기술력 입증
코오롱티슈진+11.49%TG-C 임상 기대
석경에이티+10.63%실적 급증 전망
에스피지+8.47%로봇 액츄에이터 협력
디앤디파마텍+6.31%파이프라인 가치 재평가
방림+5.33%자사주 취득
영원무역+3.53%실적 성장 지속 전망
코오롱생명과학+2.24%TG-C 기대감 반영
GS리테일+0.90%실적 호조
우진아이엔에스+0.88%흑자전환
서부T&D+0.72%무비자 증가 수혜
HS화성+0.51%공공사업 수주

5. 시간 외 특이종목

상승·하락 종목을 분리해 정리했습니다.

(1) 시간외 상승 종목

종목명등락률사유
뱅크웨어글로벌+4.38%STO 법안 심사 예정
파로스아이바이오+3.22%기술이전 모멘텀 지속
유니온바이오메트릭스+2.96%글로벌 톱50 보안 기업 선정
조이시티+2.71%신작 게임 인기 상승
핑거+2.45%STO 도입 기대
디앤디파마텍+1.59%가치 재평가 지속
케이옥션+1.28%STO 테마 강세
서울전자통신+1.11%지분 양도 공시

(2) 시간외 하락 종목

종목명등락률사유
비트맥스-1.19%가상화폐 테마 약세
로킷헬스케어-1.24%정규장 급등 이후 조정
더핑크퐁컴퍼니-1.24%신규 상장 이후 변동
신신제약-1.35%FDA 경고 관련
FSN-1.42%유상증자 공시 및 코인 테마 약세
퍼스텍-1.44%로봇 테마 약세
링크제니시스-1.48%AI 테마 약세
씨피시스템-1.50%로봇 테마 약세
삼륭물산-1.51%탈플라스틱 약세
재영솔루텍-1.58%추가상장 공시
에스피시스템스-1.64%로봇 테마 약세
참좋은여행-1.68%여행 테마 약세
노랑풍선-1.80%여행 테마 약세
나우로보틱스-1.83%로봇 테마 약세
세림B&G-1.96%탈플라스틱 약세
석경에이티-2.06%정규장 급등 후 조정
아이씨에이치-2.76%대규모 유상증자 발표
하이퍼코퍼레이션-2.87%정정 공시 다수
비엔케이제3호스팩-3.33%신규 상장 후 변동성 확대
비츠로넥스텍-3.67%신규 상장 급등 후 조정

6. 테마별 정리

(1) 반도체·AI

  • 삼성전자(-6.0%), SK하이닉스(-8.9%), DB하이텍, 한미반도체 등 급락
  • 엔비디아 매출채권 급증 → 수익화 지연 우려 → AI 고평가 논란 재점화

(2) 전력기기·원자력

  • HD현대일렉트릭(-6.9%), LS ELECTRIC(-12.9%) 등 약세
  • AI 투자심리 위축의 연장선

(3) 소비재·방어주

  • KT&G(+2.5%), 코스맥스(+3.2%), 영원무역(+3.4%), 케어젠(+11.4%)
  • 실적 기반 종목 장세 위주로 흐름 이어짐

(4)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

  • 전진건설로봇 등 일부 종목 상승
  • 미국측의 전쟁 종식 논의 보도 영향

7. 오늘의 결론

오늘 시장은 AI 고평가 논란과 미국 금리 불확실성이 겹치며 전반적인 하락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반도체 중심으로 낙폭이 컸지만, 소비재와 일부 종목 중심의 종목장세는 유지되고 있습니다.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는 실적 기반 종목 중심의 리스크 관리가 필요해 보입니다.


8. 메타 설명 · 핵심 SEO · 내부링크

메타 설명:
2025년 11월 21일 국내 증시 마감 시황 입니다. AI 고평가 우려와 글로벌 증시 급락 영향으로 크게 하락했습니다. 외국인 매도, 반도체 급락, 테마별 종목 움직임까지 오늘 시장 흐름을 한눈에 정리한 데일리 리포트입니다.

핵심 SEO:
2025년 11월 21일 증시 마감, 코스피 급락, 코스닥 하락, 반도체 급락, AI 거품 우려, 외국인 매도, 상한가 종목, 급등주 분석, 시간외 특징주, 오늘의 증시 요약

내부링크:
더 많은 데일리 리포트 보러가기

댓글 남기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