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시 마감 시황

출저) investing.com
2025년 8월 28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9.16포인트(0.29%) 오른 3,196.32로 마감했습니다. 코스닥은 3.29포인트(0.41%) 내린 798.43을 기록했습니다.
기관이 3,262억 원을 순매수하며 지수를 지지했으나, 개인(3,939억 원)과 외국인(242억 원)의 매도세로 3,200선 안착은 실패했습니다. 엔비디아 실적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결정이 시장에 안도감을 주었지만,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하며 제한적인 상승에 그쳤습니다.
👉 관련 기사 보기: 머니투데이 (2025년 8월 28일)
외국인·기관 수급 현황
- 코스피: 외국인 242억 원 순매도(반도체·IT 중심), 기관 3,262억 원 순매수(금융·조선·건설 중심)
- 코스닥: 외국인 100억 원 순매수(바이오·IT 중심), 기관 200억 원 순매도(중소형 IT·게임 중심)
👉 코스피에서는 기관 매수가 지수 하락을 방어했으며, 코스닥은 외국인 매수에도 기관 매도가 맞서며 제한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상한가 및 급등 종목
📌 해설 및 분석
- 바이오주: 현대ADM·현대바이오가 신약 ‘페니트리움’ 소식으로 상한가 및 급등
- 조선·기자재: 현대힘스·STX엔진·HJ중공업, 韓·美 협력 및 MASGA 프로젝트 수혜 기대
- 증권·지주사: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3차 상법 개정안) 추진 기대에 부국증권·SK·코오롱 등 강세
- 로봇/AI: 러셀·원익홀딩스 등이 AI·로봇 테마 반사이익으로 상승
📊 종목 표
종목명 | 종가 | 등락률 | 사유 |
---|---|---|---|
엠에스씨 (009780) | 10,770원 | +29.92% | 신규 시설 투자 결정 |
현대ADM (187660) | 3,000원 | +29.87% | 신약 ‘페니트리움’ 학회 초록 채택 |
현대바이오 (048410) | 6,660원 | +25.19% | 신약 모멘텀 지속 |
현대힘스 (460930) | 27,300원 | +17.67% | 韓·美 조선업 협력 기대 |
러셀 (217500) | 2,055원 | +15.38% | 로봇·AI 테마 강세 |
부국증권 (001270) | 64,100원 | +15.08% | 자사주 소각 법안 기대 |
STX엔진 (077970) | 40,400원 | +13.01% | 조선업 협력 모멘텀 |
원익홀딩스 (030530) | 8,540원 | +11.63% | 지주사·로봇 테마 강세 |
HD한국조선해양 (009540) | 408,500원 | +10.55% | 합병 시너지 기대 |
SK (034730) | 207,500원 | +9.44% | 지주사 강세, 상법 개정안 기대 |
🔎 추가 분석: 이번 급등주는 정책 변화, 조선·에너지 협력, 신약 개발이라는 뚜렷한 모멘텀에 의해 상승한 것이 특징입니다.
52주 신고가 종목 및 특이사항
📌 해설 및 분석
- 조선·기자재: 현대힘스·HD한국조선해양, 글로벌 협력 기대감 반영
- 로봇/AI: 러셀·원익홀딩스, 산업 자동화 및 AI 칩 모멘텀
- 바이오: 헬릭스미스·네오크레마, 신약·임상 이벤트 부각
- 에너지/LNG: 엔케이·비에이치아이, 글로벌 프로젝트 및 수주 증가 기대
📊 종목 표
종목명 | 등락률 | 특이사항 |
---|---|---|
현대힘스 (460930) | +17.67% | 韓·美 조선업 협력 기대 |
러셀 (217500) | +15.38% | 노란봉투법 수혜 + 로봇 사업 진출 |
비나텍 (126340) | +13.97% | AI 데이터센터 슈퍼커패시터 계약 |
HD한국조선해양 (009540) | +10.55% | 합병 시너지 분석 |
헬릭스미스 (084990) | +8.10% | ‘엔젠시스’ 中 품목허가 기대 |
엔케이 (085310) | +7.80% | 캐나다 잠수함 프로젝트 수혜 |
삼양식품 (003230) | +5.62% | 밀양2공장 가동률 확대 |
비에이치아이 (083650) | +4.17% | LNG 복합발전 HRSG 1위 유지 |
일동제약 (249420) | +1.88% | 비만 치료제 경쟁력 기대 |
삼성전기 (009150) | +0.37% | MLCC·AI 서버 수요 개선 |
🔎 추가 분석: 업종별 순환매가 뚜렷하며, 특히 조선·에너지·AI 종목은 글로벌 이슈와 정책 지원이 맞물려 신고가 랠리를 이어갔습니다.
시간 외 특이종목
📌 해설 및 분석
- 강세 그룹: 네오크레마(+3.04%)는 ‘DNF-10’ 상업화 기대, 앱코(+2.76%)는 단청 키보드 품절 모멘텀
- 하락 그룹: 네오이뮨텍(-2.10%), 텔콘RF제약(-2.91%) 등 정규장 급등 종목은 조정
- 특이 이슈: 소룩스(-6.38%)는 아리바이오 합병 일정 연기 공시로 급락
📊 종목 표
종목명 | 등락률 | 주요 이슈 |
---|---|---|
네오크레마 (311390) | +3.04% | ‘DNF-10’ 상업화 기대 |
앱코 (129890) | +2.76% | 단청 키보드 품절 대란 |
피델릭스 (032580) | +2.05% | 中 반도체 수혜 기대 |
HJ중공업 (097230) | +1.42% | MASGA 프로젝트 수혜 |
일동제약 (249420) | -1.02% | 비만치료제 테마 약세 |
케이씨티 (089150) | -1.31% | 정규장 급등 후 조정 |
네오이뮨텍 (950220) | -2.10% | 정규장 급등 후 차익실현 |
텔콘RF제약 (200230) | -2.91% | 추가상장 공시 |
소룩스 (290690) | -6.38% | 아리바이오 합병 일정 연기 공시 |
🔎 추가 분석: 시간외 시장은 정규장 급등주의 차익실현 흐름이 두드러졌으나, 일부 종목은 신규 모멘텀으로 매수세가 유지됐습니다.
테마별 정리
- 금융/지주사 강세: 자사주 소각 의무화, 대주주 양도세 완화 기대 → 미래에셋증권(+6.3%), SK(+10.2%) 등 강세
- 조선/기자재 업종 강세: MASGA 프로젝트 및 美 규제 완화 기대감 → STX엔진(+14.0%), 현대힘스(+17.7%) 상승
- 음식료 업종 강세: 삼양식품(+5.4%) 밀양공장 풀가동 기대 → 농심, 오리온홀딩스 동반 상승
- 2차전지 업종 약세: 엘앤에프(-12.6%) BW 행사 부담, LG에너지솔루션(-2.4%) 등 동반 약세
- 엔터 업종 약세: Kep1er 중국 콘서트 연기 소식 → 에스엠(-4.3%), 하이브(-2.4%) 등 하락
📌 핵심 SEO
- 2025년 8월 28일 국내 증시 마감 시황
- 코스피·코스닥 동향
- 외국인·기관 수급 분석
- 상한가 및 급등 종목
- 52주 신고가 종목
- 시간 외 특이종목
- 테마별 주도 업종
📌 메타 설명
2025년 8월 28일 국내 증시 마감 시황 입니다. 코스피 3,196.32, 코스닥 798.43으로 마감했습니다. 기관 매수세가 지수를 지지했으며, 금융·지주사, 조선기자재, 음식료 업종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2차전지·엔터 업종은 약세를 나타냈습니다. 상한가 및 급등 종목, 52주 신고가, 시간 외 특이종목까지 종합 정리해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주식 데일리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