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시 마감 시황
2025년 9월 11일 국내 증시는 외국인과 기관의 강한 매수세에 힘입어 코스피가 이틀 연속 사상 최고치 경신에 성공했습니다. 코스닥 역시 장중 연중 최고점을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출저) investing.com
- 코스피: +0.90%(+29.67p) 오른 3344.20 마감
- 장중 3344.70 기록, 사상 최고치 경신
- 외국인 +3,000억 / 기관 +8,124억 매수
- 개인 -1조 1,353억 매도
- 코스닥: +0.21%(+1.76p) 오른 834.76 마감
- 장중 836.55 기록, 연중 최고점 경신
- 기관 +300억, 개인 +472억 매수 / 외국인 -663억 매도
- 환율: 원·달러 환율 1391.8원(+5.2원), CPI 발표 경계감 반영
시가총액 상위주는 삼성전자(+1.10%), SK하이닉스(+0.99%), LG에너지솔루션(+2.79%), 한화에어로스페이스(+3.93%) 등이 올랐고, 코스닥에선 에코프로비엠(+0.95%), 펩트론(+5.42%) 등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외국인·기관 수급 현황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수에 나서면서 지수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개인은 차익실현에 나서며 대규모 매도를 기록했습니다.
- 코스피
- 외국인: +3,000억 (반도체·IT 중심)
- 기관: +8,124억 (금융·건설 업종 중심)
- 개인: -1조 1,353억 (대규모 매도)
- 코스닥
- 외국인: +500억 (IT·바이오 중심)
- 기관: +300억 (게임·중소형 IT 매수)
👉 종합적으로 코스피는 사상 최고치, 코스닥은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며 견조한 매수세를 확인했습니다.
상한가 및 급등 종목 정리
9월 11일 증시에서는 연료전지·풍력·방산·반도체 관련주가 시장을 주도했습니다. 큐라클, 코오롱모빌리티그룹, 빌리언스, 한선엔지니어링은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상한가 및 급등 종목 표
종목명 | 종가 | 등락률 | 사유 |
---|---|---|---|
큐라클 | 7,330원 | +29.96% | 당뇨병성 신증 후보물질 개발 MOU 체결, 유상증자 호조 |
코오롱모빌리티그룹 | 4,555원 | +29.96% | 공개매수 결과, 완전자회사 편입 기대 |
빌리언스 | 530원 | +29.90% | 유상증자 청약률 흥행 |
한선엔지니어링 | 11,470원 | +29.90% | SOFC 테마 상승, AI 데이터센터 전력 대안 부각 |
코칩 | 16,920원 | +22.88% | 오라클·오픈AI 계약, MLCC 납품사 부각 |
SK오션플랜트 | 29,100원 | +22.01% | 풍력·조선 기자재 테마 강세 |
범한퓨얼셀 | 29,600원 | +19.35% | SOFC/수소차·조선 기자재 테마 상승 |
농심 | 488,000원 | +19.17% | ‘츄파춥스 젤리’ 판매 호조, 해외 실적 기대 |
쎄트렉아이 | 59,500원 | +13.55% | 방산·우주항공 테마 강세 |
글로벌텍스프리 | 5,830원 | +12.98% | AI·성형관광 테마 부각 |
오로스테크놀로지 | 24,500원 | +12.90% | 반도체 지수 강세 영향 |
👉 전체 30여 종목이 급등했으며, 에너지·방산·반도체·소비재 테마가 중심이었습니다.
52주 신고가 및 특이사항
연료전지, 풍력, 방산, 반도체 모멘텀에 힘입어 다수 종목이 52주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52주 신고가 종목 표
종목명 | 등락률 | 특이사항 |
---|---|---|
코오롱모빌리티그룹 | +29.96% | 완전자회사 편입 기대 |
코칩 | +22.88% | 오라클·오픈AI 계약 수혜 |
SK오션플랜트 | +22.01% | 풍력·조선 기자재 테마 강세 |
한국정보공학 | +20.44% | 1,345억 공급계약 체결 |
범한퓨얼셀 | +19.35% | SOFC/수소차 모멘텀 |
농심 | +19.17% | 소비재·해외 실적 기대 |
RF머트리얼즈 | +12.55% | 방산 수혜 전망 |
한국항공우주 | +5.37% | 수리온 4대 계약 체결 |
SK하이닉스 | +0.99% | 모바일 낸드 솔루션 공급 개시 |
시간 외 특이종목
정규장에서 강세를 보인 AI·식품·원전 관련주는 시간외에도 상승을 이어갔습니다. 반면 정규장에서 급등했던 일부 종목은 차익 매물로 하락했습니다.
시간 외 특이종목 표
종목명 | 등락률 | 특이사항 |
---|---|---|
정원엔시스 | +9.27% | 국가 AI사업 인프라 장비 공급계약 체결 |
농심홀딩스 | +5.82% | 자회사 농심 급등 영향 |
오르비텍 | +3.65% | 한수원 원전 방사선관리 용역 계약 |
풀무원 | +2.58% | 애니 ‘케데헌’ 흥행 모멘텀 |
대한광통신 | +1.39% | AI 데이터센터 케이블 상용화 기대 |
코칩 | -1.00% | 정규장 급등 후 차익 매물 |
SK오션플랜트 | -2.06% | 정규장 급등 후 조정 |
아이에이 | -5.32% | 불성실공시 지정예고 공시 |
테마별 정리
- 음식료 업종 강세: 라면 수출 사상 최대(5천만달러) 기록. 농심(+15.9%), 삼양식품(+4.9%) 등 상승
- SOFC·연료전지 강세: 블룸에너지(+14.47%), 한선엔지니어링(+29.9%), 두산퓨얼셀(+14.5%) 등 급등
- 방산·우주항공 강세: 머스크 ‘스타십 V3’ 발사 준비 발언, 러시아-유럽 갈등 영향. 쎄트렉아이(+12.4%), 한국항공우주(+5.7%), 한화에어로스페이스(+3.1%) 등 상승
- 재생에너지 강세: 대통령 재생에너지 확대 발언. SK오션플랜트(+21.0%), SK이터닉스(+7.8%) 등 급등
- 금융/증권 약세: 대주주 양도세 50억 유지 발표 후 차익 매물. 부국증권(-7.5%), 미래에셋증권(-4.0%) 등 하락
- 엔터/미디어 약세: 중국 드림 콘서트 연기 소식. 와이지엔터(-2.2%), JYP(-1.7%) 하락 / CJ ENM(+3.5%) 반등
마무리
오늘 증시는 외국인과 기관의 강한 매수세로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 코스닥이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SOFC·풍력·방산·반도체 모멘텀과 음식료 업종 강세가 시장을 주도했으며, 금융과 엔터주는 약세를 보였습니다.
👉 더 많은 데일리 리포트는 주식 데일리 리포트 카테고리에서 확인하세요.
메타 설명
2025년 9월 11일 국내 증시 마감 시황 입니다.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에 힘입어 코스피가 이틀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코스닥은 연중 최고점을 돌파했습니다. 음식료·연료전지·풍력·방산 업종이 강세를 보였으며, 금융·엔터 업종은 약세를 기록했습니다. 상한가 및 급등 종목, 52주 신고가, 시간외 특이종목, 테마별 흐름까지 종합 정리했습니다.
핵심 SEO
- 2025년 9월 11일 국내 증시 마감 시황
- 코스피 사상 최고치 경신
- 코스닥 연중 최고점 돌파
- 외국인 기관 매수세
- 주식 상한가 종목 및 급등주
- 52주 신고가 종목 정리
- 시간외 특이종목 분석
- 연료전지 SOFC 테마주
- 풍력에너지 관련주
- 방산·우주항공주 강세
- 음식료 라면 수출 호조
- 금융주·증권주 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