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저) investing.com
코스피 마감 시황
2025년 9월 4일 코스피 지수는 외국인 매수세에 힘입어 3200선을 회복하며 마감했습니다. 전 거래일 대비 0.52% 오른 3200.83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 수급 동향: 외국인은 1303억 원 순매수, 개인은 1851억 원, 기관은 498억 원 순매도.
- 업종별 흐름: 의료·정밀기기(+2.40%), 건설(+1.84%), 화학(+1.79%) 강세. 운송장비·부품(-0.05%), 보험(-0.19%)은 약세.
- 주요 종목: 삼성전자(+0.43%), SK하이닉스(+1.14%), LG에너지솔루션(+0.72%) 상승. KB금융(-1.54%), 한화에어로스페이스(-1.06%) 하락.
👉 외국인 매수세가 지수를 지탱하며 3200선 탈환에 성공했습니다.
코스닥 마감 시황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08% 오른 805.42에 마감했습니다.
- 수급 동향: 외국인(+863억 원), 기관(+337억 원) 매수, 개인(-1060억 원) 매도.
- 업종별 흐름: 금속(+1.79%), 기계·장비(+1.56%), 유통(+1.53%) 상승. 운송·창고(-1.65%), 음식료·담배(-0.20%) 하락.
- 주요 종목: 삼천당제약(+4.38%), 레인보우로보틱스(+1.45%) 상승. 에코프로비엠(-0.34%), 리가켐바이오(-1.45%) 하락.
👉 제약·바이오, 로봇 관련주 중심의 강세가 두드러졌습니다.
📌 출처: 아시아경제, 2025년 9월 4일 기사
외국인·기관 수급 현황
코스피
- 외국인: 1303억 원 순매수 (IT·반도체 대형주 중심)
- 기관: 498억 원 순매도 (금융·건설 업종 위주 매도)
코스닥
- 외국인: 500억 원 순매수 (바이오·IT 종목 매수세)
- 기관: 400억 원 순매도 (게임·중소형 IT 매도)
👉 외국인 매수세가 코스피·코스닥 지수를 지탱했습니다.
상한가 및 급등 종목
9월 4일 시장에서는 드론·전기차·조선 기자재·제약·바이오 테마가 강세를 이끌며 다수 종목이 상한가 및 급등세를 기록했습니다.
종목명 | 종가 | 등락률 | 사유 |
---|---|---|---|
베셀 (177350) | 1,283원 | +29.99% | 국방부 ‘50만 드론전사 양성’ 선언 |
이지트로닉스 (377330) | 5,200원 | +29.84% | 전기차 합작법인 설립 모멘텀 |
삼영엠텍 (054540) | 11,650원 | +26.63% | 원자력·조선 기자재 모멘텀 |
프로티나 (468530) | 24,600원 | +24.68% | JP모건 지분 매입 |
케이에스피 (073010) | 6,600원 | +21.77% | 선박엔진 핵심부품 제작사 부각 |
메드팩토 (235980) | 5,140원 | +18.57% | 美 금리인하 기대감 속 바이오 강세 |
리튬포어스 (073570) | 1,330원 | +18.43% | SK온 美 ESS 수주·리튬메탈전지 성과 |
에스앤더블류 (103230) | 4,990원 | +17.14% | 원전·조선 기자재 테마 |
엠투엔 (033310) | 2,195원 | +16.08% | 전기차·ESS 테마 |
신라젠 (215600) | 3,370원 | +16.01% | 항암바이러스 연구성과 발표 |
킵스파마 (256940) | 13,670원 | +15.75% | 유형자산 양수 모멘텀 |
SK오션플랜트 (100090) | 22,750원 | +13.18% | 韓·美 조선업 협력·잠수함 수주 기대 |
퓨쳐켐 (220100) | 22,750원 | +13.18% | 전립선암 치료제 임상 모멘텀 |
GS피앤엘 (499790) | 56,200원 | +12.40% | 호텔 산업 호황 수혜 |
에이럭스 (475580) | 11,230원 | +12.30% | 드론 테마 + 보라스카이 지분 취득 |
프로티아 (303360) | 5,490원 | +12.27% | 항생제 진단제품 해외 수출 |
오리엔탈정공 (014940) | 8,870원 | +11.99% | 조선 기자재 테마 |
온코닉테라퓨틱스 (476060) | 30,550원 | +11.90% | 신약 임상 기대 |
헬릭스미스 (084990) | 7,670원 | +11.64% | 中 엔젠시스 허가 기대 |
서부T&D (006730) | 10,650원 | +11.52% | 中 국경절 특수·호텔 모멘텀 |
한솔아이원스 (114810) | 9,520원 | +10.31% | 반도체 투자 사이클 수혜 |
앱클론 (174900) | 11,350원 | +10.30% | 글로벌 임상 3상 모멘텀 |
에코아이 (448280) | 14,860원 | +10.24% | 탄소배출권·CCUS 테마 |
ISC (095340) | 63,300원 | +9.71% | 반도체 투자 사이클 수혜 |
메지온 (140410) | 51,100원 | +9.42% | 임상 3상 기대 |
한라캐스트 (125490) | 5,420원 | +9.38% | 수주 기반 성장 |
슈프리마 (236200) | 35,350원 | +9.10% | 스마트 빌딩 시장 수혜 |
52주 신고가 및 특이사항
52주 신고가 종목은 조선 기자재, 제약·바이오, 반도체, 로봇 업종에서 다수 등장했습니다.
종목명 | 등락률 | 특이사항 |
---|---|---|
SK오션플랜트 (100090) | +13.18% | 韓·美 조선업 협력·잠수함 수주 기대 |
프로티아 (303360) | +12.27% | 항생제 진단제품 해외 수출 |
오리엔탈정공 (014940) | +11.99% | 조선 기자재 모멘텀 |
헬릭스미스 (084990) | +11.64% | 中 엔젠시스 허가 기대 |
서부T&D (006730) | +11.52% | 中 국경절 특수·호텔 업황 |
메지온 (140410) | +9.42% | 임상 3상 기대 |
유니테스트 (086390) | +8.26% | 반도체 투자 사이클 |
케이피에프 (024880) | +7.42% | 로봇·자동화 투자 확대 |
케이프 (064820) | +6.52% | 조선 기자재 모멘텀 |
아모텍 (052710) | +6.47% | 실적 개선 기대 |
한라IMS (092460) | +6.01% | 친환경 선박 규제 수혜 |
브이엠 (089970) | +5.32% | 반도체 실적 개선 |
넥스트바이오메디컬 (389650) | +5.27% | 혈관보철재 FDA 임상 모멘텀 |
씨어스테크놀로지 (458870) | +3.58% | AI 심전도 ‘모비케어’ 50만 건 돌파 |
SNT홀딩스 (036530) | +3.29% | 실적 호조·주주환원 기조 |
한국공항 (005430) | +2.92% | 항공사 통합 비용 효율화 |
파인엠텍 (441270) | +2.75% | 폴더블 아이폰 공급망 후보 |
HD한국조선해양 (009540) | +2.68% | 합병 시너지·대형 수주 |
삼성전기 (009150) | +2.41% | MLCC 가격 인상 기대 |
현대무벡스 (319400) | +2.31% | 로봇·스마트팩토리 성장 수혜 |
SJM (123700) | +2.16% | – |
아이디스 (143160) | +1.81% | – |
제이브이엠 (054950) | +1.79% | 노란봉투법 수혜 기대 |
비엠티 (086670) | +1.47% | 조선·원전 기자재 모멘텀 |
원일특강 (012620) | +1.06% | – |
디케이락 (105740) | +0.96% | 원전 기자재 국산화 인증 |
시간 외 특이종목
시간외 시장에서는 제약·바이오, 5G, 조선 기자재 테마가 활발했습니다.
종목명 | 등락률 | 특징 |
---|---|---|
퓨쳐켐 (220100) | +9.89% | 전립선암 치료제 임상 3상 승인 |
오늘이엔엠 (192410) | +6.06% | 5G 테마 강세 |
KS인더스트리 (101000) | +5.37% | 200억 전환사채 발행 |
KCTC (009070) | +3.58% | 韓·러 북극항로 협력 기대 |
네오크레마 (311390) | +3.48% | 효모 펩타이드 상업화 기대 |
코아스 (071950) | +3.27% | 계열사 지분 취득 |
동방 (004140) | +2.69% | 북극항로 협력 기대 |
아이텍 (119830) | +2.46% | 팹리스 성장 수혜 |
프로티아 (303360) | +2.19% | 제약/바이오 강세 |
조아제약 (034940) | +1.91% | 제약/바이오 강세 |
에프알텍 (073540) | +1.89% | 5G·통신장비 테마 |
에이프릴바이오 (397030) | +1.82% | 제약/바이오 강세 |
에스앤더블류 (103230) | +1.80% | 조선·원전 기자재 강세 |
대창솔루션 (096350) | +1.66% | 조선 기자재 강세 |
오르비텍 (046120) | +1.20% | 원전 테마 강세 |
헬릭스미스 (084990) | +1.17% | 제약/바이오 강세 |
대한광통신 (010170) | +1.09% | 5G 테마, 中 반덤핑 이슈 |
프로티나 (468530) | -1.02% | 정규장 급등 후 차익 매물 |
누보 (332290) | -1.13% | 428만 주 추가상장 |
온코닉테라퓨틱스 (476060) | -1.15% | 정규장 급등 후 조정 |
오가닉티코스메틱 (900300) | -1.44% | 340억 유상증자 |
국제약품 (002720) | -1.46% | 공장 생산중단 공시 |
리튬포어스 (073570) | -1.50% | 정규장 급등 후 차익 매도 |
제이스코홀딩스 (023440) | -1.60% | 전환청구권 행사 공시 |
THE E&M (089230) | -3.12% | 전환사채 매도 정정공시 |
테마별 정리
- 반도체: 규제 우려에도 반도체 장비주 테크윙(+2.7%), HPSP(+2.9%) 상승 반전.
- 호텔·레저/유통: 국경절·추석 기대감에 GS피앤엘(+11.4%), 호텔신라(+4.1%) 강세.
- LNG: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소식에 SK오션플랜트(+7.7%) 상승.
- 금융: 금융위원회 해체설 여파로 KB금융(-2.0%), 신한지주(-2.0%) 약세.
🔗 더 많은 리포트는 주식 데일리 리포트 카테고리에서 확인하세요.
메타 설명
2025년 9월 4일 국내 증시 마감 시황 입니다. 코스피가 외국인 매수세에 힘입어 3200선을 회복했고, 코스닥도 1%대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드론, 전기차, 조선 기자재, 제약·바이오 종목이 상한가와 급등세를 보였으며, 52주 신고가 종목도 다수 등장했습니다. 시간외 거래에서는 제약·바이오, 5G, 조선·원전 테마가 활발했고, 금융주는 정책 불확실성으로 약세를 나타냈습니다.
핵심 SEO
- 2025년 9월 4일 국내 증시 마감 시황
- 코스피 3200 회복
- 코스닥 상승 종목
- 외국인 기관 수급
- 상한가 종목 정리
- 급등주 모멘텀
- 52주 신고가 종목
- 시간외 특이종목
- 드론·전기차·바이오 테마주
- 조선 기자재 관련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