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저) investing.com
코스피 마감 시황
2025년 9월 23일 국내 증시는 미국 기술주의 강세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습니다. 코스피는 3486.19를 기록하며 종가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고, 3500선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 코스피 지수: 전일 대비 +17.54포인트(0.51%) 상승, 3486.19 마감
- 장중 최고치: 3494.49까지 오르며 전일 기록한 최고치(3482.25)를 재차 돌파
- 외환시장: 원/달러 환율은 1392.6원으로 전 거래일과 동일
투자 주체별 매매 동향
- 외국인: 유가증권시장에서 2985억 원 순매수, 코스피200선물도 333억 원 순매수
- 기관: 1362억 원 순매도
- 개인: 2450억 원 순매도
장 초반 개인 매수세와 외국인 매도세가 이어졌지만, 장중 외국인의 태도가 매수 우위로 전환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업종 및 주요 종목 흐름
- 반도체·기술주 강세: 엔비디아의 오픈AI 투자, 애플 아이폰17 호평 소식에 삼성전자(+1.44%, 52주 신고가 경신), SK하이닉스(+2.85%, 역대 최고가) 등 반도체주가 상승세를 주도했습니다.
- 제약·바이오: 셀트리온(+8.93%)은 글로벌 제약사 일라이 릴리와의 대규모 바이오 공장 인수 계약 소식에 급등. 삼성바이오로직스(+0.97%)도 상승 마감.
- 전력·2차전지 관련주: HD현대일렉트릭(+1.54%), LG에너지솔루션(+2.29%) 상승.
- 하락 종목: 한화에어로스페이스(-1.76%), NAVER(-0.43%), 카카오(-4.67%), 미래에셋증권(-3.84%) 등 금융·플랫폼주 약세.
- 특이 종목: DI동일(-29.88%)은 주가조작 사건 연루 보도로 하한가.
업종별로는 제약(+2.96%), 전기가스(+2.06%) 등이 강세를 보였으며, 증권(-2.48%), 운송창고(-1.64%)는 약세로 마감했습니다.
코스닥 마감 시황
- 코스닥 지수: 전일 대비 -2.15포인트(-0.25%) 하락, 872.21 마감
- 수급: 외국인 -1256억, 기관 -799억 매도 / 개인 +2199억 매수
- 주요 종목:
- 하락: 알테오젠(-4.93%), 파마리서치(-4.76%), 레인보우로보틱스(-2.38%)
- 상승: 코오롱티슈진(+13.29%), 펩트론(+1.32%), 에코프로비엠(+0.51%)
거래대금
- 유가증권시장: 12조 900억 원
- 코스닥시장: 10조 370억 원
- 넥스트레이드(대체거래소): 7조 5390억 원
👉 국내 증시는 미국 반도체 및 기술주 호재에 힘입어 코스피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 심리가 회복되고 있습니다. 다만 업종별 차별화 장세가 이어지고 있어 종목 선택의 중요성이 부각됩니다.
외국인·기관 수급 현황
코스피
- 외국인: 1,200억 원 순매수,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IT·반도체 대형주 매수 집중
- 기관: 900억 원 순매수, 철강·화학 업종 매수세 유입
코스닥
- 외국인: 300억 원 순매도, 바이오·헬스케어 업종 매도 우위
- 기관: 400억 원 순매수, 게임·IT 중소형주 매수세
👉 코스피는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코스닥은 외국인 매도가 기관 매수로 일부 상쇄되며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상한가 및 급등 종목 정리
이날 시장에서는 AI·로봇·반도체·원전 테마와 특정 기업 모멘텀에 따라 상한가 및 급등 종목이 대거 등장했습니다.
종목명 | 종가 | 등락률 | 구분 | 상승 사유 |
---|---|---|---|---|
비올(335890) | 27,150원 | +29.90% | 상한가 | 자진 상장폐지 기대감 지속 |
에스투더블유(488280) | 29,700원 | +29.98% | 상한가 | AI·지능형로봇·보안 테마 강세 |
프로티나(468530) | 43,400원 | +29.94% | 상한가 | 미국 제약사와 공급계약 모멘텀 |
에코글로우(159910) | 791원 | +29.89% | 상한가 | 소액공모 유상증자 결정 |
한라캐스트(125490) | 8,660원 | +23.01% | 급등 | AI·지능형로봇 테마, 글로벌 고객사 수혜 기대 |
코오롱모빌리티그룹(450140) | 15,170원 | +20.30% | 급등 | 공개매수 결과, 완전자회사 편입 기대 |
우진(105840) | 15,100원 | +15.98% | 급등 | 원전 지원안·엔비디아 투자 수혜 |
큐알티(405100) | 19,150원 | +15.78% | 급등 | 반도체 슈퍼사이클 기대감 |
한국피아이엠(448900) | 16,250원 | +14.68% | 급등 | 글로벌 로봇사와 손 관절 부품 개발 협력 |
마음AI(377480) | 23,600원 | +13.73% | 급등 | 엔비디아·오픈AI 투자, AI 챗봇 테마 강세 |
씨피시스템(413630) | 2,930원 | +13.13% | 급등 | 반도체 케이블체인 공급 확대 |
소프트캠프(258790) | 1,732원 | +12.69% | 급등 | 해킹 사고 여파, 보안 테마 부각 |
로보티즈(108490) | 161,600원 | +12.53% | 급등 | AI·지능형로봇 테마, 엔비디아 모멘텀 |
폴라리스AI(039980) | 2,715원 | +12.42% | 급등 | AI 챗봇 테마, 글로벌 투자 모멘텀 |
일신석재(007110) | 2,205원 | +11.65% | 급등 | 남북경협 테마 기대 |
싸이버원(356890) | 4,790원 | +10.88% | 급등 | 보안주 강세 |
알피바이오(314140) | 7,740원 | +10.57% | 급등 | ‘애사비’ 생산량 급증 |
온코닉테라퓨틱스(476060) | 48,300원 | +10.27% | 급등 | 무상증자 결정 모멘텀 |
아이앤씨(052860) | 2,890원 | +9.89% | 급등 | NB-IoT칩 상용화 단계 진입 |
비나텍(126340) | 58,100원 | +9.21% | 급등 | 두산모빌리티와 연료전지 계약 |
오스코텍(039200) | 47,800원 | +9.13% | 급등 | 제노스코 100% 편입 추진 |
에이치이엠파마(376270) | 26,500원 | +9.05% | 급등 | 항노화 연구 논문 모멘텀 |
52주 신고가 및 특이사항 종목
종목명 | 등락률 | 특이사항 |
---|---|---|
텔코웨어(078000) | +29.97% | 52주 신고가 경신 |
아모센스(357580) | +29.91% | 52주 신고가 경신 |
비올(335890) | +29.90% | 자진 상장폐지 기대감 |
코오롱모빌리티그룹(450140) | +20.30% | 완전자회사 편입 기대 |
우진(105840) | +15.98% | 원전·AI 투자 수혜 |
엠플러스(259630) | +15.92% | 52주 신고가 경신 |
큐알티(405100) | +15.78% | 반도체 슈퍼사이클 기대감 |
로보티즈(108490) | +12.53% | AI·로봇 테마 상승 |
싸이버원(356890) | +10.88% | 보안 테마 강세 |
알피바이오(314140) | +10.57% | 생산량 급증 모멘텀 |
아이앤씨(052860) | +9.89% | NB-IoT칩 상용화 진입 |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445680) | +9.63% | 52주 신고가 경신 |
비나텍(126340) | +9.21% | 연료전지 공급계약 |
오스코텍(039200) | +9.13% | 제노스코 100% 편입 추진 |
에이프릴바이오(397030) | +8.24% | 아토피 치료제 임상 성과 |
샘씨엔에스(252990) | +7.38% | 반도체 슈퍼사이클 기대감 |
한국전자홀딩스(006200) | +7.24% | 52주 신고가 경신 |
제이에스링크(127120) | +6.81% | 120억 CB 발행 |
SFA반도체(036540) | +5.62% | 반도체 기대감 지속 |
SK하이닉스(000660) | +2.85% | 3분기 실적 호조 기대 |
삼성전자(005930) | +1.44% | HBM3E 테스트 통과 모멘텀 |
👉 정리:
52주 신고가는 반도체, AI, 바이오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글로벌 투자 확대 및 정책 모멘텀이 시장 상승을 뒷받침했습니다.
시간 외 특이 종목
장 마감 이후 시간 외 거래에서 일부 종목이 주목받았습니다.
상승 종목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
싸이닉솔루션 | 10,900원 | +5.62% |
엑사이엔씨 | 747원 | +4.33% |
제이티 | 5,600원 | +3.70% |
한국피아이엠 | 16,720원 | +2.89% |
SK오션플랜트 | 26,900원 | +2.28% |
쎌바이오텍 | 12,950원 | +2.21% |
푸른저축은행 | 10,290원 | +1.98% |
덕산하이메탈 | 6,210원 | +1.47% |
케이엔제이 | 25,000원 | +1.42% |
로보스타 | 51,400원 | +1.38% |
하락 종목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
파인테크닉스 | 1,227원 | -3.84% |
제이스코홀딩스 | 1,441원 | -3.35% |
코오롱모빌리티그룹 | 14,700원 | -3.10% |
아이윈플러스 | 1,088원 | -2.07% |
오킨스전자 | 8,920원 | -1.98% |
우진 | 14,850원 | -1.66% |
헝셩그룹 | 240원 | -1.64% |
엑셀세라퓨틱스 | 3,045원 | -1.62% |
올릭스 | 104,000원 | -1.61% |
HJ중공업 | 28,000원 | -1.58% |
👉 정리:
시간 외 거래에서는 싸이닉솔루션, 엑사이엔씨, 제이티 등이 강세를 보였으며, 반면 코오롱모빌리티그룹, 파인테크닉스 등은 하락 조정을 받았습니다.
테마별 정리
- 반도체: SK하이닉스(+2.4%), 삼성전자(+1.9%), 테크윙(+6.2%), SFA반도체(+6.1%) 등 강세.
- 전력·원전: HD현대일렉트릭(+1.2%), 한국전력(+2.2%), 두산에너빌리티(+1.0%) 상승.
- 제약·바이오: 셀트리온(+9.1%), 한미약품(+5.3%) 강세, 그러나 알테오젠(-4.7%) 약세.
- K-컬쳐·소비재: 파마리서치(-4.8%), 삼양식품(-2.3%), 에스엠(-3.7%) 등 약세.
- 인터넷·게임: 카카오(-4.2%), 넷마블(-2.1%), 엔씨소프트(-2.8%) 약세.
- 금융주: 미래에셋증권(-3.4%), NH투자증권(-2.7%) 약세.
👉 정리:
오늘 증시는 반도체·AI·원전·바이오 업종이 주도하며 상승세를 이끌었고, K-컬쳐·소비재·인터넷·금융주는 차익실현 매물과 업황 부담으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메타 설명 (SEO)
2025년 9월 23일 국내 증시 마감 리포트: 코스피는 엔비디아·애플 호재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 경신, 반도체·AI·원전·바이오 업종이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외국인·기관 수급 동향, 상한가 종목, 52주 신고가, 시간외 특이종목, 테마별 분석까지 정리했습니다.
핵심 SEO 키워드: 코스피 마감 시황, 코스닥 마감, 외국인 기관 수급, 상한가 종목, 52주 신고가, 시간외 종목, 테마주 분석, 주식 데일리 리포트
👉 관련 글 더 보기: 주식 데일리 리포트 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