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마감 시황
24일(현지시간) 뉴욕 증시는 이틀 연속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출저) investing.com
- 다우지수: 46,121.28 (-0.37%)
- S&P500 지수: 6,637.97 (-0.28%)
- 나스닥 지수: 22,497.85 (-0.34%)
AI 업종에 대한 버블 우려가 투자 심리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 엔비디아: -0.82%, 업계 내부 순환 구조(circular nature) 논란
- 오라클: -1.74%, 이틀 연속 하락
- 마이크론: -2.82%, 실적·전망 부진
- 인텔: +6.4%, 애플 투자 기대감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시장 밸류에이션이 높다”고 언급한 점도 투자자들의 경계심을 자극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계절적 약세와 차익 실현 매물이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출처: 자체 정리
오늘의 주요 경제 뉴스
1. 국내 반도체주 희비, 코스피 숨고르기
24일 코스피는 **3,472.14 (-0.40%)**로 3거래일 만에 하락 전환했습니다.
- 삼성전자: +0.83% → 8만 5,400원, 상승세 지속
- SK하이닉스: -0.97% → 35만 7,500원, 사상 최고가 이후 조정
최근 반도체 업종 랠리에 따라 **반도체 FOMO(소외 공포감)**가 투자자들 사이에서 확산되고 있습니다. 반도체 ETF도 한 달 만에 30% 가까이 급등했습니다.
전문가들은 “AI 반도체뿐 아니라 레거시 메모리 반도체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며 하반기에도 반도체 주도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 신성이엔지, 국무총리 표창 수상
신성이엔지 박덕준 이사가 24일 열린 2025 기계·로봇산업 발전 유공 포상식에서 기계 분야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습니다.
- 1991년 국내 최초로 FFU(클린룸 핵심 장비) 국산화 성공
- 업계 최초로 EFU(Equipment Fan Filter Unit) 상용화
-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와 해외 의존도 해소 기여
또한 2022년 이후에는 국내 최초로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팩토리를 운영하며 ESG 경영에도 앞장서 왔습니다.
3. 국제유가, 美 원유재고 감소에 7주 최고치
국제유가는 미국 원유 재고 감소 소식에 2% 이상 급등하며 7주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WTI 선물: +2.27% → 배럴당 64.85달러
- 브렌트유 선물: +2.28% → 배럴당 69.17달러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지난주 원유 재고는 60만7천 배럴 감소, 이는 시장 예상치(-23만5천 배럴)보다 큰 폭의 감소였습니다.
공급 우려가 부각되면서 유가가 일제히 상승했으며, 이는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4. 美, 아르헨티나에 200억달러 통화 스와프 추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경제난에 처한 아르헨티나를 지원하기 위해 200억달러 규모 통화 스와프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미국은 아르헨티나 달러 표시 국채 매입 및 외환안정기금 활용도 논의
- 트럼프 대통령은 UN총회에서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을 직접 만나 지원 의지 표명
이번 행보는 트럼프 대통령과 밀레이 대통령 간 각별한 정치적 친분에 기반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반면 한국이 요청한 3500억달러 규모의 한·미 통화 스와프에 대해서는 미국이 여전히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5. 방산주, 트럼프 대러 강경발언에 강세
24일 국내 방위산업주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러시아 강경 발언을 계기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5.38% → 105만8천원, 장중 52주 신고가 경신
- 한화시스템 +3.07%, 한국항공우주 +3.42%, 현대로템 +2.01%, 풍산 +1.54%, LIG넥스원 +0.51%
방산 ETF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 ‘KODEX K방산TOP10레버리지’ +5.36%
- ‘KODEX K방산TOP10’ +3.14%
- ‘TIGER K방산&우주’, ‘SOL K방산’ 등도 2%대 상승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 항공기가 NATO 영공을 침범하면 격추해야 한다”고 발언하며 강경한 대러 메시지를 내놨습니다. 이는 방산주 투자 심리에 직접적인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또한 한국은 체코·사우디·폴란드 등과 방산 협력을 확대 중이며, 최근 9조원 규모의 K2 전차 수출 계약도 체결하는 등 K-방산 수출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6. K-뷰티 열풍, 미용 의료기기 M&A 확산
국내 미용 의료기기 시장이 글로벌 사모펀드(PEF)와 전략적 투자자(SI)들의 관심을 끌며 몸값이 급등하고 있습니다.
- 2022년 베인캐피탈의 클래시스 인수 후 업계 가치 7배 상승
- 더파운더즈, 미용 의료기기 진출 검토
- 원텍(올리지오 장비), 상반기 매출 50% 증가·영업이익 두 배 이상 상승
최근 대주주 보호예수 해제와 맞물려 원텍 매각설이 돌았지만 회사는 부인했습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인수 제안과 탐색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업계 전문가들은 “K-뷰티 프리미엄과 글로벌 고령화 트렌드가 맞물리며 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라면서도, 일부 기업은 밸류에이션(고평가) 부담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메타 설명
2025년 9월 25일 경제 뉴스 에서는 미국 증시가 AI 버블 우려로 이틀째 하락했고, 국내 증시는 반도체주 희비로 숨고르기에 들어갔습니다. 신성이엔지는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으며, 국제유가는 미국 원유 재고 감소로 7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의 아르헨티나 통화 스와프 추진, 대러 강경 발언에 따른 방산주 강세, K-뷰티 열풍 속 미용 의료기기 시장 M&A 확대가 주요 뉴스로 꼽힙니다.
핵심 SEO 키워드
- 2025년 9월 25일 경제 뉴스
- 미국 증시 마감 시황
- 엔비디아 주가 하락
- 인텔 주가 급등
- 삼성전자 주가
- SK하이닉스 조정
- 신성이엔지 국무총리 표창
- 국제유가 급등
- 아르헨티나 통화 스와프
- 한미 통화 스와프
- 방산주 강세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신고가
- K-방산 수출
- K-뷰티 의료기기 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