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마감 시황
10월 1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연방정부 셧다운이 시작된 상황에서도 주요 지수가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출저) investing.com
- 다우지수: 46,441.10 (+0.09%)
- S&P500 지수: 6,711.20 (+0.34%)
- 나스닥 지수: 22,755.15 (+0.42%)
셧다운에도 투자심리는 크게 흔들리지 않았으며, 노동시장 둔화와 인플레이션 우려 속에서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시장은 10월 FOMC에서 금리 인하 단행 가능성을 100% 반영했습니다.
오늘의 주요 경제 뉴스 TOP6
뉴스 1. 미국, 카타르 안보 보장 행정명령
트럼프 대통령이 카타르 공격 시 미국이 방어에 나서겠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는 나토 집단방위 조약과 유사한 성격이지만, 행정명령으로 차기 행정부에 승계되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출처: 아시아경제, 2025년 10월 2일 기사
뉴스 2. 중국 관광객 무비자 입국, 약국 화장품 특수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 허용으로 약국 화장품(코스메슈티컬)이 인기 급증 중입니다. 동아제약, 동국제약, 지놈앤컴퍼니 등이 수혜주로 꼽히며, 여드름 치료제·재생 크림 등 피부 외용제 매출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출처: 서울경제, 2025년 10월 2일 기사
뉴스 3. 현대제철·동국제강, 중국산 H형강 반덤핑 관세 연장 요청
현대제철과 동국제강이 중국산 H형강에 대한 반덤핑 관세 연장을 요청했습니다. 건설 경기 침체와 저가 수입재 유입으로 H형강 가격은 최근 3년간 18% 하락했고, 국내 생산량도 23% 감소했습니다. 업계는 관세 만료 시 시장 교란 우려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출처: 서울경제, 2025년 10월 1일 기사
뉴스 4. 금융·증권주, 배당·실적 개선 기대에 투자 매력 ↑
상법 개정안 효과와 증시 호조로 금융·증권주의 투자 매력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배당 성향은 30% 중반대, 거래 수수료와 자산 운용 수익 증가세가 이어지며, 자사주 소각 의무화에 따른 수혜 기대도 커지고 있습니다.
출처: 한국경제TV, 2025년 10월 1일 기사
뉴스 5. 에이피알, 일본 시세이도 시총 추월
에이피알(APR)이 일본 화장품 대기업 시세이도의 시가총액을 넘어섰습니다. 상장 2년도 안 된 신생 기업이 일본 화장품 대표주를 추월한 것입니다.
- 에이피알 시총: 9조7694억 원 (시세이도 9조5217억 원)
- 해외 매출 비중 80%, 상반기 화장품 매출 373% 증가
- 영업이익률 25.8%로 글로벌 경쟁사 대비 월등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도 주가 상승에 기여했습니다. 반면 시세이도는 미국·중국 시장 부진으로 실적이 정체된 상황입니다.
출처: 매일경제, 2025년 10월 1일 기사
뉴스 6. 인텔, AMD 파운드리 고객 소식에 7% 급등
인텔이 AMD를 파운드리 고객으로 확보하기 위한 초기 협상을 진행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인텔 주가가 7.12% 급등했습니다.
현재 AMD는 대부분의 칩을 대만 TSMC에 위탁 생산하고 있습니다. 만약 인텔이 생산을 맡게 된다면, 다른 미국 반도체 업체들도 인텔에 생산을 맡길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이날 반도체주 전반이 상승하며 반도체지수도 2% 이상 올랐습니다.
출처: 뉴스1, 2025년 10월 2일 기사
메타 설명
2025년 10월 2일 경제 뉴스: 미국 셧다운에도 증시는 사상 최고치 마감. 카타르 안보 보장, 중국 관광객 특수, H형강 반덤핑 관세 연장, 금융·증권주 투자 매력, 에이피알 시총 시세이도 추월, 인텔 급등 등 핵심 이슈 총정리.
핵심 SEO 키워드
- 2025년 10월 2일 경제 뉴스
- 미국 증시 마감 시황
- 카타르 미국 행정명령
- 중국 관광객 무비자 입국
- H형강 반덤핑 관세
- 금융 증권주 배당
- 에이피알 시총 시세이도 추월
- 인텔 AMD 파운드리 협상
내부 링크
👉 더 많은 경제 뉴스 보기: 달원마켓 경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