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시 마감 시황
8월 18일 코스피와 코스닥은 글로벌 무역 긴장과 업종별 약세 영향으로 동반 하락 마감했습니다.

출저) investing.com
- 코스피 지수: 3,195.42포인트(-0.8%)
- 코스닥 지수: 995.30포인트(-0.6%)
트럼프 대통령의 반도체 관세 경고와 전력기기·건설기계에 대한 추가 관세 우려가 투자심리를 위축시켰으며, 금융업종도 세제개편안 장기화로 약세를 이어갔습니다. 반면 조선 및 기자재 업종은 정부와 미국 간 협력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외국인·기관 수급 현황
- 코스피
- 외국인: 1,800억 원 순매도 (반도체·IT 업종 중심)
- 기관: 1,200억 원 순매수 (철강·화학 업종 중심)
- 코스닥
- 외국인: 500억 원 순매도 (바이오·헬스케어 업종 중심)
- 기관: 600억 원 순매수 (게임·IT 중소형주 중심)
➡️ 외국인 매도세가 이어졌으나 기관 매수세가 일부 지수를 지탱했습니다.
상한가 및 급등 종목
- 상한가 종목
- 푸드웰(+30.0%) : 2분기 호실적
- 웅진(+28.15%) : 프리드라이프 인수 효과
- 셀바이오휴먼텍(+17.78%) : 기술력 부각
- 급등 종목
- 케이프(+18.81%) : 조선 기자재 테마 강세
- 서흥(+17.65%) : 2분기 호실적
- 아진산업(+8.55%) : 자동차 부품 업황 개선
- STX엔진(+12.5%) : 2분기 호실적
- 탑코미디어(+20.47%) : 흑자 전환 기대감
- 손오공(+2.10%) : 토이저러스 매출 급증
👉 호실적, 인수합병, 테마 모멘텀에 따른 개별 종목 중심의 급등세가 두드러졌습니다.
52주 신고가 종목
- 푸드웰(+30.0%)
- 웅진(+28.15%)
- 케이프(+18.81%)
- OCI홀딩스(+7.42%) : 美 태양광 수요 회복
- 세아특수강(+6.3%) : 실적 개선
- LG유플러스(+2.55%) : 이익 성장 기대
- 서흥(+17.65%)
➡️ 업황 회복 및 실적 개선을 기반으로 다양한 업종에서 신고가가 발생했습니다.
시간 외 특이 종목
- 강세 종목
- 캐리(+9.95%) : 3자배정 유상증자
- TS트릴리온(+9.88%) : 유상증자 및 소송 소취하
- 하이드로리튬(+8.48%) : 관리종목 해제
- 알톤(+4.17%) : 2분기 호실적
- 리튬포어스(+3.64%), 새빗켐(+1.59%) : 리튬 테마 강세
- 모아라이프플러스(+2.75%) : 美 비만 병용치료제 임상 소식
- 씨엔플러스(+2.53%) : 전환가액 조정
- 오늘이엔엠(+2.14%) : 투자주의 환기 지정에도 시간외 반등
- 약세 종목
- 코아스템켐온(-9.93%) : 대규모 유상증자
- 샤페론(-9.98%) : 대규모 유상증자
- 형지엘리트(-3.95%) : 정치 테마 약세
- 제넥신(-1.51%), DXVX(-1.74%), 블루엠텍(-1.15%) : 비만치료제 테마 약세
- 라온텍(-1.31%) : 150억 원 규모 전환사채 발행
- 동일스틸럭스(-2.53%) : 유상증자 추가 상장
- 로스웰(-2.74%) : 유상증자 일정 변경
➡️ 유상증자, 관리종목 해제, 임상 이슈, 테마 모멘텀 등으로 시간외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습니다.
업종 및 테마 동향
- 약세 업종: 반도체, 전력기기, 건설기계, 금융
- 강세 업종: 조선 및 기자재 업종
- HD현대미포(+3.0%), 한화오션(+3.4%), 세진중공업(+6.1%), STX엔진(+12.5%)
👉 무역 긴장과 관세 리스크 속에서도 조선·기자재 업종은 협력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주도했습니다.
결론
8월 18일 국내 증시는 관세 리스크와 무역 불확실성이 투자심리를 짓눌렀으나, 조선 및 기자재 업종이 시장을 지탱했습니다. 상한가·급등주, 신고가 종목, 시간 외 종목 모두 개별 호재에 따라 움직였으며, 투자자들은 당분간 변동성 확대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